꽃5 🌿로즈마리 2편 - 전설과 문학 속에서 피어난 기억의 향기 로즈마리는 단순한 허브가 아니라 수천 년 전설과 문학 속에서 ‘기억’을 상징해온 특별한 식물입니다. 셰익스피어, 성모 마리아의 전설, 문화권별 활용법까지 함께 알아보세요. ✨ 기억을 품은 꽃, 로즈마리의 유래와 전설로즈마리(Rosemary)는 라틴어로 '바다의 이슬(ros marinus)'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고대 로마인들은 이 식물이 해변 가까이에서 자란다고 여겨 ‘바다의 이슬’이라 불렀는데, 여기엔 전설도 함께 담겨 있어요. 중세 유럽에서는 로즈마리가 악령을 쫓고 정화를 돕는 신비한 허브로 여겨졌고, 무덤가에 심으며 ‘영원한 기억’의 상징으로 사용했어요. 한 전설에 따르면, 성모 마리아가 도망치던 중 로즈마리 덤불 아래서 숨었고, 그 순간 하얀 꽃이 푸른빛으로 바뀌었다고 해요. 이런 이유로 로.. 2025. 8. 14. 🌿 도라지꽃 시리즈 4편 – 국내외 명소, 문화 속 도라지꽃 이야기 도라지꽃은 민요와 현대가요 속 상징적 존재일 뿐 아니라, 해외 정원과 문화 속에서도 사랑받는 식물입니다. 도라지꽃을 둘러싼 예술과 이야기를 함께 따라가보세요. 1. 도라지꽃 명소와 지역 축제 – 깊은 산골의 향기 가득한 보랏빛 물결도라지꽃은 비교적 고요한 시골 산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대중적 명소로 널리 알려지진 않았지만, 몇몇 지역에서는 도라지를 중심으로 한 작물축제나 특산물 행사들이 열리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전북 임실군 오수면 ‘금동마을’에서는 해마다 도라지 수확 체험행사를 열며, 마을 일대에 도라지꽃이 자연스럽게 피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강원도 정선, 충북 괴산, 경남 산청 등에서도 도라지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며, 여름철이 되면 보랏빛 도라지꽃이 들판을 수놓습니다. 특히 산청군은 약초의.. 2025. 8. 12. 해바라기 2편 - 예술과 드라마 속 해바라기: 기다림과 태양의 꽃 🌻 예술과 드라마에 등장한 해바라기🌻 반 고흐의 그림부터 드라마 속 감성까지, 해바라기의 문화적 의미와 아름다운 촬영 팁을 담았습니다.1. 반 고흐의 해바라기, 영혼을 담다 🎨🖌해바라기를 예술작품에서 가장 강렬하게 남긴 이는 단연 빈센트 반 고흐다. 그의 '해바라기 연작'은 총 11점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노란 배경 위에 노란 해바라기를 그린 1888년작이다. 🌻 이 그림은 단순한 정물화가 아니라,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우울한 감정을 이겨내기 위한 빛의 상징"으로 말했을 만큼 내면과 연결된 작품이었다. 고흐는 해바라기를 '감사의 상징'이자 '태양을 닮은 존재'로 여겼고, 고갱과 함께 지내기 위해 아를르의 노란 집을 준비하던 그 시절, 밝고 따뜻한 마음을 표현하려고 해바라기를.. 2025. 8. 6. 조선시대 능소화가 신분의 상징이자 양반의 꽃이였던 이야기 전통적인 공간에서 더욱 아름다운 한국 토종 능소화능소화의 학명은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이며 원산지는 중국, 한국, 일본 일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능소화를 중국에서 들여온 외래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한국에서도 오래전부터 자생해온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자생한 능소화의 기록을 찾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살펴보면, 삼국시대 이전부터 자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고려 및 조선시대 문헌에서 담장이나 궁궐 주변에서 자라는 꽃으로 언급되며 이나 에도 유사한 식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토종 능소화와 외래종 능소화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토종 능소화는 크기가 크고 화려한 편이며 잎의 끝이 뾰족하고 약간 넓은 편이며 줄기는 다소 섬세합니다. 덩굴성 식물으.. 2025. 7. 7. 해바라기 1편 - 해바라기가 오직 태양만 바라보는 진정한 이유 태양의 꽃, 해바라기해바라기(sunflower)의 학명은 Helianthus annuus으로 Helios (그리스어로 태양) + anthos (꽃) → "태양의 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바라기는 1~3m까지 자라며 굵은 줄기에 털이 있습니다. 잎은 거칠고 큰 하트 모양이며 줄기와 마주보며 자라며 꽃은 중심의 씨방(갈색 또는 검은색)과 주변의 노란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씨앗은 검은색 또는 줄무니가 있으며 식용으로 사용됩니다. 꽃이 태양을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헬리오트로피즘이라고 하며 성장기(씨앗이 발아한 후 꽃이 피기 전의 상태)의 어린 해바라기일 때만 이러한 특성이 나타나고 성숙하면 점차 방향이 고정됩니다. 아침에는 태양이 뜨는 방향에서 빛을 받기 위해서 동쪽으로 향하며 .. 2025. 7. 6. 이전 1 다음